기업파산신청 업계의 모든 사람이 사용해야하는 5가지 도구

지난해 해외 기업 중 신용등급이 약해진 곳이 반등한 곳보다 4배나 다수인 것으로 보여졌다. 코로나19 대유행으로 타격받은 기업들이 불어나면서 신용평가사들이 신용등급 하향 조정에 나섰던 영향이다. 

8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'2010년 신용평가실적 분석'에 따르면 전년 국내 기업 중 신용등급이 상승한 기업은 66곳으로 전년 준비 12곳(23%)이나 증가한 것으로 보여졌다. 반면 상승한 기업은 34곳으로 전년 예비 3곳(4%) 쪼그라들었다. 신용등급이 떨어진 업체가 반등한 업체의 2배 가까이 되는 셈이다.

image

최근 신용등급 하향화는 심화되는 추세다. 신용등급 상승 기업 덩치는 2011년 바로 이후 9년 연속 하락세를 기록하고 있는 반면 이 시간 신용등급 하락 업체는 일괄되게 많아지고 있는 것이다.

등급 전망을 놓고 보면 하락 기조는 더 강화되고 있다. 지난해 http://query.nytimes.com/search/sitesearch/?action=click&contentCollection&region=TopBar&WT.nav=searchWidget&module=SearchSubmit&pgtype=Homepage#/기업파산 말 기준 신평사들로부터 등급 예상을 받은 업체 기업회생절차 195개 중 긍정적인 등급전망을 받은 업체는 20개사(20.6%)에 불과했고 '부정적' 예상을 받은 곳은 159개사(79.4%)였다. 이는 지난해 말(67%)과 비교해 14.9%포인트 급증한 수치다.

신용등급 분포 현황을 살펴봐도 투자등급(AAA·AA·A·BBB) 기업 비중은 줄고 투기등급(BB·B이하) 기업 비중은 불었다. 지난 2018년 초 신평사들이 투자등급으로 분류한 기업의 비중은 전체 90.9%였으나 전년 말 84.9%로 하향했다. 같은 기간 투기등급 기업 비중은 9.9%에서 15.8%로 불어났다.

하지만 2013년 직후 투자등급에서 부도는 없었다. 지난해에는 투기등급 8개사(중복평가 포함시 3건)에서만 부도가 발생했다. 연간부도율은 0.28%로 전년 준비 하락했다.

금감원은 '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사태 뒤 급격한 신용등급 하락, 부도율 상승 등은 발생하지 않았으나 등급하향 조정 압력이 계속되고 있다'며 '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재확산 등으로 경기 회복 지연 시 등급 하락 리스크가 가시화할 불안이 있어 신용등급 변화에 대한 모니터링을 계속할 예정'이라고 말했다.

한편 요번 통계는 금감원이 대한민국기업평가·우리나라신용평가·나이스신용평가·서울신용평가 등 국내 8개 신용평가 기업의 신용평가실적을 분석한 결과다.

전년 이들 2개사의 신용평가부문 매출은 회사채 발행규모 증가 등으로 지난해 예비 6.7% 증가한 1097억원을 기록했다.